-
2021.2.23 작성
웹 상에서 정보를 접근할 때에는 URL을 통해 접근한다. 사용자가 URL을 통해 어떠한 정보를 요청하면, 웹 서버가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준다. 이 과정에서 HTTP가 사용된다.
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
: HTTP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수 있는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이다. 하이퍼텍스트(Hypertext)란 화면에서 볼 수 있는 텍스트(데이터)이고 다른 텍스트와 연결될 수 있는 주소를 참조한다.
프로토콜은 일종의 통신 규약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칙에 맞춰서 정보를 교환한다.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확인하는 웹 상의 데이터는 HTTP에 의해 전달되는 것이다. HTTP는 웹에서만 사용하는 프로토콜인데 TCP/IP 기반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요청(request)과 응답(response)을 전송한다
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면 브라우저가 그 데이터를 요청하고 보여준다. 요청받은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은 웹 서버가 수행해주며 HTTP는 사용자(클라이언트)와 서버간의 규칙이다.
HTTP의 동작
클라이언트(사용자)가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요청(request)하면,
서버에서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를 찾아 클라이언트로 응답(response)한다
- HTTP 메시지는 HTTP서버와 HTTP클라이언트에 의해 해석된다
- HTTP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다. 서버의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요청마다 연결-해제의 과정을 거친다. 따라서 연결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연결 해제 후에 상태 정보가 저장되지 않는다.
- HTTP는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요청/응답 방식으로 동작
'Programming > 웹(Web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론트엔드/백엔드 분리와 REST API (1) 2023.06.10 웹의 동작 원리(feat.인터넷 주소창에 www.google.com을 치면 어떤 동작 과정이 일어날까?) (0) 2022.09.23 컴파일,빌드,배포의 개념과 자동화 (0) 2022.07.25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