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021.12.27 작성
개발 코드를 서버에 띄우기 위해 도메인 호스트를 설정해주어야 하는 일이 있었는데 개념이 생소하여 블로그에 정리해본다.
hosts파일이란?
hosts 파일은 운영 체제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 파일이다. 이 hosts 파일은 플레인 텍스트 파일이며 전통적으로 hosts라는 이름을 사용한다.
호스트 파일에 ip와 매칭되는 도메인을 작성하여 등록한 후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연결된 ip로 바이패스해준다.
MacOS에서 hosts파일로 들어가려면 터미널에서 sudo vi /etc/hosts 를 입력해주면 된다. 에디터에 따라 명령어가 조금씩 달라질 수는 있다. vim은 터미널에서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에디터인데 리눅스 기반이라 맥에서 많이 쓰인다고 하니 vim에디터 사용법도 따로 익혀두면 좋을 것 같다.
+) 보통 root에서 등록해준다고 한다. 나는 root에서 등록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sudo라는 명령어가 별도로 필요했던 것!
References
https://blog.stories.pe.kr/530
MAC(맥북)에서 hosts파일을 수정하는 방법
Windows에서 와 같이 MacOS에서도 hosts파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 hosts파일이란? hosts 파일은 운영 체제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 파일이다. 이 hosts 파일은 플레인 텍스
blog.stories.pe.kr
https://waytocse.tistory.com/12
hosts 파일에 도메인 등록하기 | Ping | MacOS
MacOS에서 hosts파일에 들어가려면, 터미널에 들어가서 sudo nano /etc/hosts 를 입력해주시면됩니다. Window에서는 C:\Windows\system32\drivers\etc\hosts 파일을 열어주시면 됩니다. 커맨드를 입력하고 엔터(R..
waytocse.tistory.com
'Programming > 서버&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에 Docker 설치하기 (0) 2022.11.23 [톰캣/Tomcat] 아파치 톰캣 구성과 설정 정리 (0) 2022.08.17 [AWS] EC2 인스턴스로 SSH 접속하기 (0) 2022.08.05 [AWS]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(0) 2022.08.04 [AWS] EC2(Elastic Compute Cloud)란 무엇인가 (0) 2022.08.01 댓글